애플의 유명한 광고 “다르게 생각하라”에는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 “자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할 정도로 미친 사람들이 정말로 세상을 바꾼다.” 21세기에 일론머스크보다 이 문구가 더 잘 어울리는 사람이 있을까요?

98년 인터넷 결제 서비스, 02년 민간 우주 사업, 03년 전기 자동차, 06년 태양광 발전, 12년 튜브 트레인, 15년 인공 지능, 16년 뇌공학까지 그야말로 세상을 바꾸고 있는 아이언맨 일론머스크가 17년에는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발상을 내놨습니다.

출처 – 엘론머스크 트위터

모든 발명은 불편함을 느끼는 데서 시작한다고 하죠. 수많은 거대 사업을 하고 있는 머스크에게 차가 막혀 도로에서 낭비하는 시간은 굉장한 불편이었던 것 같습니다. 교통 체증에 갇혀있는 것은 영혼을 파괴하는 것과 같다고 말한 그는 2016년 12월 17일 LA의 교통 체증이 자신을 미치게 만든다며 터널을 뚫는 기계를 만들어 땅을 파기 시작할 것이라는 농담 같은 트윗을 날렸습니다. 그러고는 곧이어 댓글로 “정말 이 사업에 착수할 것이다” 라며 사람들을 긴장 시키더니 한 시간 후 회사의 이름을 ‘The Boring Company(땅 파는 회사)’로 정하겠다는 말과 함께 정말로 이 땅 파는 회사가 탄생했습니다.

일론머스크는 우리가 사는 도시 공간을 2D와 3D로 표현합니다. 대부분 1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지상 위의 도로는 2D, 수십 수백 층을 치솟는 빌딩은 3D, 자신의 차 앞에 다른 차가 한 대만 있어도 앞으로 갈 수 없는 2D 도로와 수십 수백 층으로 치솟아 좁은 면적에도 사람을 가득 담을 수 있는 3D 빌딩들로 현대의 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집에서 3D 빌딩으로 출근하기 위해, 아니면 3D 빌딩에서 집으로 퇴근하기 위해 모두 비슷한 시간에 2D 도로를 이용하니 차가 막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머스크는 말합니다. 따라서 빌딩에 맞추어 도로 또한 3D로 만들어 교통을 해소하겠다는 것이죠. 지상이 아닌 지하로 말이죠.

그가 공개한 마스터 플랜은 이렇습니다. 지상 위 도로 갓길에 자동차가 들어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만듭니다.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자동차는 대규모 지하 터널로 이동하게 되고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패널 위에서 자동차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막힘없이 질주합니다. 목적지에 다 달하면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통해 다시 지상으로 올라가면 되는 거죠.

이 시스템이 현실화되면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동 중에 다른 업무를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이 교통 플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지하 도로 네트워크가 ‘3D’ 라는 점입니다. 일론머스크는 지상으로 가는 것보다 지하로 가는 것이 더 낫다고 말합니다. 지상에 차도를 겹겹이 쌓아 올리는 것보다 지하를 이용하는 것이 외관에 더 좋을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깊은 탄광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의 길이보다 더 깊게 파여 있을 정도로 지하로 층을 겹겹이 만드는 데에 물리적인 한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지하 1층 터널, 지하 2층 터널, 지하 3층 터널, 지하 6층 터널, 지하 63층 터널 등 여러 층으로 형성된 지하 터널에서 차는 막히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3D 도로는 3D 빌딩과 균형을 이룰 것입니다. 일론머스크는 2017년에 자신의 우주 산업 기업 스페이스X의 주차장에서 굴착기를 이용해 지하 터널을 만들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후 2019년에는 지하 터널 주행이 일반 도로에 비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지 비교한 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회사는 이동 속도 비교를 위해 로스앤젤레스 남서부 호손에 굴착한 시험용 터널을 이용했습니다.

지하 터널을 뚫는 데만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 이 사업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론머스크는 기존 기술의 틀을 깨는 기술 혁신과 더불어 터널의 공간을 대폭 축소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한다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모르긴 몰라도 20년도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한 일론머스크라면 기대해 볼만 하지 않을까요?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1분과학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